Abstract

본 논문은 보험회사의 보험영업부문과 투자영업부문의 성과 간 균형에 대한 정보가 가치관련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손해보험회사의 부문 간 성과의 균형정도를 계량화한 변수를 개발하여 해당 변수에 대한 증분적 가치관련성과 상대적 가치관련성의 존재여부를 조사하였다. 연구표본으로는 국내 상장보험회사들의 최근 17개 연도의 주가자료와 재무자료 및 기타 기업특성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보험회사의 순이익은 유의적인 가치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보험영업과 투자영업부문 간 성과의 균형정도와 기업가치 간에는 유의적인 양(+)의 연관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험회사의 경우 이익의 최종집계치인 당기순이익보다 각 부문별 이익의 균형정도가 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보험회사의 이익정보에 분명한 가치관련성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이익의 질에 대한 또 다른 차원의 척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공헌점을 가진다.This paper analyzed whether the information on the balance between the insurance and investment sector performance of insurer has a value relevance. To test the hypothesis, this paper developed a variable that quantifies the balance of performance between two sectors and tested weather there is a incremental and relative value relevance of developed variable in this study. As research samples, this paper used data of stock price data, financial and other characteristics data of listed insurance companies in Korea for the last 17 years.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paper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surance company’s performance balance and the firm’s value, but no significant value relevance was found on insurance company’s net profit. These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 balance have more meaningful than total amount of profit.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 us with evidence of the fact that profit information of insurance company obviously has a value relevance and present a new measure of earnings quality. In this regard, this paper has a differentiated contribution from previous stud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