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관악기는 앙부슈어를 취해 연주하므로 다른 악기들과 구분이 된다. 입 주위의 근육과 골격, 치아, 입술, 혀가 연주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더불어 폐로부터의 호흡이 악기에 전달되고 두 손이 운지를 담당하므로 취주는 호흡과 앙부슈어, 운지를 완수하기 위한 근신경계의 능동적인 프로세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악기 연습과 공연 연주가 이 복잡한 프로세스를 집중하므로 과하게 반복된 동작은 앙부슈어 관련 신체구조에 질환과 외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취주악기 연주자 질환 보고에 대한 리뷰(review)를 통해 관악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치과질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1960년대부터 2016년 11월까지 50여 년 동안 동료검증(peer-review) 하에 이루어진 전문연주인들의 직업병 보고를 조사하였으며 부정교합, 치아질환, 측두하악장애, 근육질환, 피부질환으로 구분하고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주자 질환의 제(齊) 검토를 통해 발생 가능한 질환의 범주를 제시하고 연주자에게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연연주의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본 종설의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치과의가 악기 연주가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을 인식하고 능동적인 치료를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Wind instruments are different from other musical instruments because they play with mouth. Perioral muscles, cranial bones, teeth, lips, and tongue participate in the performance. In addition, breathing from the lungs is transmitted to the musical instrument, and both hands are responsible for the fingertip, so the blowing can be defined as an active process of the neuromuscular system to accomplish breathing, embouchure and finge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laying-related disorders among instrumental musicians by reviewing the papers on the disease published in between 1960 and 2016. We reviewed the disease reports of the wind instrument players and classified them into maloccusion, tooth problem, temporomandibular joint, orofacial muscle and skin. The review of these musculoskeletal disorders suggests the categories of diseases that can occur and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performing art medicine. Based on this review, musicians should understand each disease and will be able to cope with the treatm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