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적정기술 보조기기(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AAT) 개발을 위해 보조기기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2020년 8월부터 2021년 6월 13일까지 수요를 제출한 176 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해당 수요를 더욱 구체화하였고,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수요는 총 176건이었으며, 보조기기가 필요한 일상생활 속 어려움 수요는 153건, 보조기기 맞춤 활용 수요는 23건이었다. ICF 분류 순으로 보면 이동 (82건), 자기관리 (35건), 가정생활 (18건), 의사소통 (15건), 지역사회생활, 사회생활 및 시민생활 (13건), 주요생활영역 (10건), 기타 (3건) 순이었다. 보조기기의 수요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시사점이 있었다. 첫째, 기존의 보조기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생활에서 적용하기에는 맞춤형 제작이 더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더 이상 기업에서 생산을 하지 않아 구할 수 없는 보조기기가 있다. 셋째, 기존의 보조기기를 응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보조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넷째, 기존에 없는 새로운 형태의 보조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본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 기업, 연구기관, 메이커스페이스, 보조기기센터 등에서 다양한 일상생활 영역에 대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