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군집을 이루어 생활을 하는 세균류의 하나인 M. xanthus의 csgA 유전자는 세포 표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데 이 단백질은 M. xanthus의 자실체 및 포자 형성을 수반하는 발생 (development)에 필수적이다. csgA 돌연변이들은 정상적인 성장을 보이지만, 발생 과정에서 자실체 및 포자 형성이 불가능하다. 또한, CsgA 세포간 기인한 신호 전달체계에 의해서 유발되는 CsgA 특이적 유전자들의 발현이 없거나 감소한다. socD500돌연변이는, csgA 돌연변이체로부터 자실체 혹은 포자 형성을 회복하게 해주는 2차 돌연변이 중의 하나로서, csgA 돌연변이체의 포자 형성을 회복하도록 한다. socD500에 의한 포자 형성은 영양원의 고갈 및 자실체의 형성이 없이도, 단순히 성장 온도를 <TEX>$32^{\circ}C$</TEX>에서 <TEX>$15^{\circ}C$</TEX>로 낮추는 것이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런 과정을 거쳐 형성된 포자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 포자와는 다르게 단지 얇은 여러 겹의 막들이 존재하였다. 또한 socD500 돌연변이체에서 10개의 CsgA 특이적 유전자들의 발현율을 측정한 결과, 자실체 형성을 수반하는 정상적인 발생시에만 발현하는 ΩDK4506 및 ΩDK4406 유전자들이 <TEX>$15^{\circ}C$</TEX>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socD500은 CsgA에 특이적인 신호 전달체계에 관련된 일부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에 관련되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Myxococcus xanthus is a Gram negative, rod-shaped, soil bacterium that displays a social behaviors, and multicellular development upon nutrient deprivation. The csgA gene encoding a cell surface protein is essential for developmental behaviors including rippling, aggregation, fruiting body formation and sporulation. csgA mutants show normal vegetative growth, but lack all these developmental phenotypes. Expression of the CsgA (C-signal) specific genes are eliminated or dramatically reduced in csgA mutants. In order to identify components of C-signal transduction pathway, second site mutations were introduced into csgA mutants and were identified which can fully or partially restore development of csgA mutants (Rhie, H. G. et. al. 1989. J. Bacteriol. 171, 3268-3276). One of such csgA suppressor mutations, socD500 restores only sporulation to csgA mutants at 15<TEX>$^{\circ}C$</TEX>. The socD500 mutaion however eliminates the three basic developmental requirements, starvation, high cell density and a solid surface. Only sporulation, not accompanied with fruiting body formation is induced simply by shifting the temperature of vegetatively growing cells from <TEX>$32^{\circ}C$</TEX> to <TEX>$15^{\circ}C$</TEX>. Spores induced by socD500 mutation is not as thick as that of wild-type fruiting body. In socD500 genetic background, two of ten C-signal dependent genes, <TEX>$\Omega$</TEX>DK4506 and <TEX>$\Omega$</TEX>DK4406 are more highly expressed in growing cells at <TEX>$15^{\circ}C$</TE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cD500 mutation may be partly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expression of two C-signal dependent genes and genes for sporulation in this transduction pathwa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