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이 보급화 되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문서의 생성과 편집이 일어나고 있다. 이처럼 학교나 회사에서 업무처리 방법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문서 파일들을 분석하여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편집된 흐름을 추적할 수 있다면 디지털 포렌식 수사에서 증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문서 프로그램으로 Microsoft 사의 Office 시리즈를 꼽을 수 있다. MS Office 프로그램은 복합 문서 파일 형식(Compound Document File Format)을 사용하는 97-2003 버전, OOXML 파일 형식(Office Open XML File Format)을 사용하는 2007-현재 버전까지 두 가지 파일 형식으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연구된 MS 파일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분석 방법은 파일에 은닉된 정보를 탐지하거나 문서의 속성 정보를 통해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MS 엑셀 파일에 텍스트 셀이 입력된 순서를 분석하여 문서의 입력 순서와 마지막으로 수정한 셀을 파악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Since smart phones or tablet PCs have been widely used recently, the users can create and edit documents anywhere in real time. If the input and edit flows of documents can be traced, it can be used as evidence in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The typical document application is the MS(Microsoft) Office. As the MS Office applications consist of two file formats that Compound Document File Format which had been used from version 97 to 2003 and OOXML(Office Open XML) File Format which has been used from version 2007 to now. The studies on MS Office files were for making a decision whether the file has been tampered or not through detection of concealed items or analysis of documents properties so far. This paper analyzed the input order of text cells on MS Excel files and shows how to figure out what cell is the last edited in digital forensic perspectiv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