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뉴어바니즘으로 기원된 압축복합도시개발, 대중교통지향개발(TOD)이 국내에서도 역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은 기존의 자동차를 이용한 도시공간구조를 대중교통 중심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녹색성장과 에너지절약 등의 친환경효과를 가지는 대중 교통지향형 개발은 지속가능성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렇듯 국내 대표적인 대도시 서울도 역시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역세권 개발이 활성화 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도시의 광범위한 접근성을 고려하여 역세권을 기존보다 광범위하게 1km로 설정하고 토지이용 연면적, 접근성, 복합성, 도시설계요소 등의 세부지표를 요인분석을 통해 7개로 통합 및 유형화 하였다. 또한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통합 유형화한 요인과 지하철 역세권의 연관성에 근거해 유형을 구분해본 결과 (1)'대중교통의 국지적 접근성', (2)'주변개발 수준','보행친화형 환승시설', (3)'대중교통의 광역적 접근성', (4)'중심지 토지이용용도', '역세권의 복합적 이용', '대중교통의 상호보완'과 같은 구분으로 4가지 차원으로 201개의 지하철역이 각 요인과 연관성을 나타내며 구분되었다. The City Complex Development and TOD originated from the Compact City are entrenched domestically. The New Urban Development such as these changes Structure of Urban space from the Automobile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Also,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s drawing attention as sustainability because it has effects of Environment as Green growth. However, An empirical Study is insufficient about Influence Factors of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sets up the Density spaced 1000m apart of Transit Oriented than the existing and did 7 Types considered of Accessibility, Complexity and Design Element according to the Factorial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drew that (1) 'intraregional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it', (2) 'degree of development', 'pedestrian-friendly facility', (3) 'interzonal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it', (4) 'land-use of the city centre', 'complex using of rail station area', 'complementary public transit' are related 201 in number of the Subway stations according to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