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들의 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연구실 안전환경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들의 연구실 안전관리의 구조와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2021 타임스 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 THE)이 평가하는 THE 아시아 대학 평가 결과 국내 상위 20개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해당 대학 연구실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부서, 이러한 부서에서 운영하는 안전관리 활동 주요 내용, 대학들이 운영하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형태 및 내용 등이다. 〔연구결과〕20개 대학 모두 연구실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부서가 존재하고 9개 대학에서 안전관리를 독립부서로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의 대부분 연구실 안전법에서 제시하는 안전, 환경교육, 연구실 안전관리, 화학물질안전, 안전점검, 소방안전 관리, 생물안전 등의 안전관리 활동을 운영하고 있었고, 연구실 안전법을 토대로 연구실 안전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안전교육을 비교과 교육과정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었는데 학수번호를 부여하여 안전교육이라는 과목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학교도 있다. 〔결론〕전공불문하고 모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전의식, 안전습관, 안전행동을 제대로 형성시켜 줄 수 있는 실제적인 대학 안전환경 교육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지금의 일방향 강의식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메타버스 시뮬레이션이나 가상 게임 등의 체험형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각종 장비를 직접 사용해보며 안전조치 행동을 숙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안전 불감증을 해소하고 교육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s of Korean universities and explore effective ways to secure laboratory s safe environment in the future. Method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of Korean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selected as the top 20 universities in Ko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2021 THE Asian University evaluation. The targets of analysis are the departments in charge of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the main contents of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perated by these departments, and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Results: All 20 universities had a department dedicated to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and 9 universities managed safety management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Almost all of them were operating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safety, environmental education,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chemical safety, safety inspection, fire safety management, and biosafety specified by the Laboratory Safety Act. Also, safety education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its provisions. Most of them implemented safety education in the form of extra-curricular programs, but there was only one university that operated the safety education subject as a regular curriculum by assigning a course identification numbe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conduct practical university safety environment education that can properly form safety awareness, safety habits, and safety behaviors for all college students, regardless of major.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one-way lecture class, if metaverse simulations or virtual games gives students hands-on experience in using dangerous equipment and objects, more effective safety education can be conduct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behavior-based safety action by resolving the insensitivity to safety and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