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논문은 전후 일본에서 불편부당・객관보도 원칙이 개념의 모호함이나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민주적 저널리즘의 핵심적인 원칙으로 오랫동안 당연시되어 왔던 관행에 주목하여 그러한 관행을 가능케 한 인식론적 기반과 역사적 조건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전시 일본 미디어가 국가의 탄압에 굴하여 ‘군국주의자’들이 국민을 기만하는 데 일조했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과거에서 일변한 전후 미디어 저널리즘을 구축하려는 노력에서 ‘서구’의 민주주의 ‘선진국’에서 실현되어 온 ‘보편적’인 저널리즘의 이념이었던 이들 원칙이 점령 개혁을 통해 이식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설명의 기본 전제가 되는 전시 일본 미디어의 존재 양상에 대한 전후의 지배적인 이해 방식과 불편부당・객관보도 원칙 자체가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두했던 역사성을 분명히 하고, 이들 원칙이 전후 일본의 민주적 저널리즘의 이념으로 자인된 과정을 패전과 냉전이 교차한 일본 전후의 특정한 맥락에서 고찰한다. 아울러 이들 원칙이 미국과 일본 양국의 미디어 공론장에서 좌우 양 극단을 배제하여 보수적 자유주의의 헤게모니를 재구축하고 지속시키는 데 기여한 점 또한 시야에 넣어, 전후의 불편부당・객관보도 원칙을 냉전 자유주의의 이념으로 역사화할 것을 제기한다. 이렇게 접근할 때 이들 원칙의 정착은 파시즘의 재흥과 공산진영에 대항해 자유 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고 재건하려는 시도로서 대두한 냉전 자유주의의 틀 안에서 전후 민주주의를 상상하고 전후 저널리즘을 재구축하는 동시대적인 과정으로 다시 읽힐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넓게는 전후 민주주의를 신화화하기보다는 그 특정한 성격과 공과를 엄밀히 평가하고, 탈냉전과 우익 저널리즘 부상의 관계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