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IT환경에서 소방관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하여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직접 대면 면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전체 366명의 소방관이 참여하였다. 평가 방법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대한 평가를 위해 NIOSH의 증상 표를 이용한 자가 평가식 설문지로 측정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가를 위해 SF-36을 근거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은 상지에서 38.0%, 허리에서 35.5%, 하지에서 21.6%이었으며, 59.3%에서 신체의 두 부위 이상에서 증상이 발생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상지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감정 기복 제한을 제외한 삶의 질의 7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하지나 허리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삶의 질의 모든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골격계 질환이 삶의 질에 부정적 효과를 갖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관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적 전략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QoL) in the firefighter under the recent IT environme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 the 366 respondents. WMSDs symptoms were measured by a self-assessed questionnaire on symptom table of NIOSH and health-related QoL was measured by SF-36. The prevalence of WMSDs was 38.0% in upper limbs, 35.5% in the low back, 21.6% in lower limbs, and 59.3% in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Subjects with symptoms of WMSD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7 dimensions of QoL except 'emotional role limitation' than those without symptoms of WMSDs at the area of upper extremities (neck, shoulder, arm/wrist, and hand/wrist/fingers). On the other hand, subjects with symptoms of WMSD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all QoL dimensions than those without symptoms of WMSDs at the area of lower back or lower extrem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MSDs had a negative effect on QoL. Therefore, prevention of WMSDs should be consider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QoL, especially in firefight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