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유아 권리 존중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중요도와 실행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IPA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발달지체유아 권리 보장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개 광역시와 5개도에 거주하는 발달지체유아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22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들은 유아권리 존중의 중요도를 매우 높이 인식하였지만, 실행도는 그보다 유의하게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발달지체유아 권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는 유아의 연령과 장애진단 여부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셋째, 보호권과 발달권의 6가지 하위요소들이 집중 지원요소로 나타났고, 참여권의 모든 요소들이 저순위 지원요소에 포함되었다. 넷째, 발달지체유아의 권리 보장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차별과 유해 자극으로부터의 보호, 유아의 개별적 요구와 놀이에 기반한 발달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들에게 자녀권리 존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실행정도를 점검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발달지체유아의 권리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lements that need to be supported for right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rough the study mother’s perception was analyzed about their children’s rights with IPA technique. The participants were 224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velopmental delays and they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level of mothers’ perception on their children’s rights was high, but the performance level was lower than that. Second, there was differences in mothers’ perception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diagnosis of disabilities. Third, it proved that 6 elements of protection rights and development rights were in the ‘Concentrate area’, and all the elements of participation rights were in the ‘Low priority area’ within IPA matrix. Fourth, protecting against discrimination or noxious environment, and supporting child’s individual needs were core elements. This study provided opportunities that mothers thought about their child’s rights. And it indicated practical discussion items to promote children‘s righ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