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Korean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인구의 고령화 진전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가계의 자산 및 부채 포트폴리오의 변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고는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OECD 국가의 경제지표를 이용한 거시패널 모형과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미시패널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거시패널 모형에서는 고령화 수준이 높을수록 가계의 저축률과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비중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애주기이론 및 선행연구 결과에 부합하였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의 경우 고령화 수준이 높을수록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미시패널 모형에서는 출생연도효과(cohort effect)를 고려할 경우 고도성장기를 겪은 베이비붐 세대가 이전 세대에 비해 더 많은 실물 및 금융 자산을 축적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층은 예비적 저축동기, 상속동기 등으로 금융자산을 축소하기보다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으며 실물자산을 완만하게 하향 조정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베이비부머가 고령층에 진입하더라도 실물자산을 급격하게 처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5분위에 속하는 고소득 고령층의 경우 실물자산을 줄여 부채를 상환하거나 노후자금 마련 등을 위한 금융자산으로 보유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논문은 거시패널 모형을 통해 고령화가 가계의 자산 및 부채 구조에 미치는 일반적인 영향을 점검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시패널 모형을 통해 우리나라 베이비부머의 은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금융시장 측면에서 고령화에 따른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English Abstract: This paper looks into the impacts of the progress of aging on the financial markets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households’ asset and liability portfolios. To identify these impacts empirically, this paper sets up a hypothesis and conducts an analysis through a macroeconomic panel model using economic indicators from OECD member countries, and through a microeconomic panel model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as the level of population aging increases, the household savings ratio and the share of households’ investment in risky assets decline. The financial debt-to-financial assets ratio is found to fall as the level of aging rises, but this fall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microeconomic panel model, considering the cohort effect, the baby-boomer generation that experienced a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is found to have been able to build up more real and financial assets than the generations before them. In addition, the elderly are found to maintain their financial assets to some extent, rather than reducing them, owing mainly to the precautionary savings and bequest motives, while their real assets show modest downward movements.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high-income elderly people, belonging to the fifth income quintile group, will reduce their real assets to repay their debts, hold financial assets for retirement savings, and so on.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s not only the impacts of aging on households’ asset and liability structures but also the impacts of factors such as the retirement of baby-boomers in Korea through microeconomic panel data. This is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us in coming up with policy solutions related to aging.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