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교통사고 특성 및 행태 검토를 통해 교통약자의 통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13세 미만, 65세 이상의 교통약자사고발생비율을 종속변수로 자치구의 11개 속성 값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일반선형회귀모형과 베타회귀모형을 통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종속변수의 속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일반선형회귀모형에서는 유의한 변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베타회귀모형을 적용한 모형예측 결과 총 11개의 독립변수 중 7개의 변수가 95% 신뢰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종속변수 속성을 고려한 분석모형 선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베타회귀모형 예측결과, 교통약자사고발생비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자치구 속성변수로 인구비와 보호구역 지정비율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로 주거지·상업지 면적, 투자예산, 보행행태, 단속건수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자치구별교통약자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highway safety among vulnerable users such as children and elderly peopl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crash characteristics and travel behaviors affected by a rapid demographic change. Both a conventional linear regression model and a beta regression model were estimated with 11 independent variables. No variabl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y the conventional regression model at 95% significance level whereas seven variable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the beta regression model, indicating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 dependent variable in model estimation process. It is found that two explanatory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atio of crash occurrence while the other five variabl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