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영국의 경험론 철학자인 데이비드 흄의 인간론은 동시대인들로부터 이해와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 흄의 독창적인 인간론의 목적은 자아의 동일성과 확실성에 관한 인식과 믿음이 근본적으로 허구라는 사실을 밝히려는 것으로 그는 실체라는 개념은 객관적이거나 실증 가능한 것이 아니라 관념들이 인간의 정신 속에서 결합되는 특정한 심리적 기제의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상관물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흄은 인간을 “서로 다른 지각들의 다발 또는 집합”(a bundle or collection of different perceptions)으로 정의하고 이 지각들의 단속성과 유동성을 강조하였으며 주체와 객체라는 데카르트의 이분법을 부정하고 오히려 주체에게 중요한 구성요소는 외부세계와 갖는 유물론적 관계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주체의 정념과 신념 역시 외부의 물적 조건의 관습과 습관에 근거하며 외부조건의 변화에 따라 주체성 역시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호손의 「웨이크필드」(“Wakefield”)는 이와 같은 흄의 인간론을 그대로 재현한 듯한 설정과 주제를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흄의 주요 개념들과 인간성에 관한 논의와 유사한 설정과 주제를 「웨이크필드」에서 확인함으로써 둘 사이의 철학적 동질성의 의미를 고찰한다.The science of man theorized by David Hume was not understood and recognized by his contemporaries. His original science of man aims to examine the fact that our perception of and belief in the identity and certainty of self are in effect falsely grounded and the conception of substance is not objective and substantially provable but nothing but a correlative formed by the working of particular psychological mechanism operating in our mind. In particular, Hume defines us as “a bundle or collections of different perceptions” and stresses their discontinuity and fluidity. He also denies the Cartesian divid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highlights the important materialistic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external world. Therefore, for Hume the subject’s passions and belief are also based on the custom and habit of the external material conditions, to those variations the subject are subject. Nathaniel Hawthorne’s “Wakefield” shows the representation of Humean notions and theories of humanity. The aim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philosophical homology between Human’s philosophical writings and Hawthorne’s “Wakefiel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