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1998부터 2007년도까지 수집된 국내 홀스타인종 22,175두의 15개 형질에 대한 332,625개의 선형심사 점수, 22,175개의 최종점수와 84,612개의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유전 및 오차 분산-공분산은 16개 형질에서 2개 형질씩 짝을 지어 총 225개 형질조합에 대하여 이형질(二形質) 모형을 이용하여 DFREML 패키지로 추정하였다. 키(ST), 강건성(STR), 체심(BD), 예각성(DF), 엉덩이 기울기(RA), 엉덩이 너비(TW), 옆에서 본 뒷다리(RLSV), 발굽기울기(FA), 앞유방의 붙음성(FUA), 뒷유방의 부착높이(RUH), 뒷유방의 너비(RUW), 정중제인대(UC), 유방의 깊이(UD), 뒤에서 본 앞유두의 배열위치(FTP), 앞유두의 길이(FTL) 그리고 최종점수(FS)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31, 0.21, 0.25, 0.10, 0.29, 0.19, 0.09, 0.06, 0.1, 0.293, 0.1, 0.20, 0.196 0.190, 0.28 그리고 0.15로 추정되었다. 키는 강건성과 0.9 의 가장 높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옆에서 본 뒷다리는 발굽기울기와 -0.56의 가장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엉덩이 기울기는 정중제인대를 제외한 유방형질과 -0.17에서 -0.02의 부 (-)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뒷유방의 너비는 강건성(0.60), 체심(0.62), 엉덩이 너비(0.49)와 높은 정(+)의 유전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유방 깊이는 강건성(-0.4), 체심(-0.4)과 높은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앞유두의 길이는 앞유방의 붙음성, 뒷유방의 부착높이, 뒷유방의 너비, 정중제인대 그리고 유방의 깊이와 모두 부(-)의 유전상관을 나타냈다. 최종점수는 정중제인대(0.12), 유방의 깊이(0.18), 그리고 뒤에서 본 앞유두의 배열위치(0.2)와 정(+)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유전 및 잔차 분산-공분산 행렬이 양정치 행렬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유전능력평가에 이용하기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며, 모든 형질에 대한 유전상관을 동시에 추정하는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utilized 332,625 records of linear type scores consisting for 15 primary traits, 22,175 final score and 84,612 pedigree information of 22,175 Holstein cows from 1993 to 2007 in Korea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16 type traits. Genetic and error (co)variances between two traits selected from 16 traits were estimated using bi-trait pairwise analyses with DFREML package. The estimated heritabilities for stature (ST), strength (STR), body depth (BD), dairy form (DF), rump angle (RA), thurl width (TW), rear legs side view (RLSV), foot angle (FA), fore udder attachment (FUA), rear udder height (RUH), rear udder width (RUW), udder cleft (UC), udder depth (UD), front teat placement (FTP), front teat length (FTL) and final score (FS) were 0.31, 0.21, 0.25, 0.10, 0.29, 0.19, 0.09, 0.06, 0.12, 0.13, 0.12, 0.08, 0.26, 0.20, 0.28 and 0.15, respectively. ST had the highest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BD (0.90), while RLSV had the highest nega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FA (-0.56). RA had nega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most udder traits (-0.17~-0.02). Especially, RUW had the higher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STR (0.60), BD (0.62), and TW (0.49), however, UD had the higher nega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STR (-0.40) and BD (-0.40). FTL had nega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FUA, RUH, RUW, UC and UD. FS had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UC, UD and FTP (0.12, 0.18 and 0.20).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on the use of these parameters in the genetic evaluation because estimated genetic and error variance-covariance matrices were not positive definit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