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기독교인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경험과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14명이었으며,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43개의 개념, 60개의 하위범주, 3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핵심 범주는 ‘엄마로서의 자신의 한계를 마주하며 대처해 나감’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가 가중되는 과정은 ‘양육과 관련한 요구들이 엄마의 안녕을 위협하는 한계를 경험함’, ‘자신의 한계를 넘는 양육적 부담을 감당하려 함’, ‘아이에게 감정이 폭발함’, ‘엄마로서의 죄책감과 무력감에 휩싸임’ ‘신체적으로 정서적으로 소진됨’으로 나타났고, 완화되는 과정은 ‘양육과 관련한 요구들이 엄마의 안녕을 위협하는 한계를 경험함’, ‘효율적으로 대처함’, ‘너그러워짐’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양육스트레스 경험을 사회문화적인 관점과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주체인 어머니의 경험적 관점에서 균형 있게 바라보게 하였다는 것이며, 또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요인들이 서로 어떠한 상호작용을 거쳐, 시간적 순서에 따라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여,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을 이론화 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사회적 교류가 제한된 상황 속에서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explores parenting stress experiences and parenting stress factors for Christian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high parenting stress. Fourteen Christian mothers raisi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to six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143 concepts, 60 subcategories, and 32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y was ‘facing and coping with their own limitations as a mother.’ ‘parenting stress increased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cing,’ ‘limitations of parenting-related demands threatening the well-being of the mother,’ ‘parenting burden beyond one’s limits,’ ‘emotional explosion to the child,’ ‘guilt and helplessness as a mother,’ and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process of alleviating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be ‘experiencing limitations of parenting-related demands threatening the well-being of the mother,’ ‘coping efficiently,’ and ‘being generous,’ Significance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