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seeks to shed light on Heidegger’s concept of God. Heidegger’s philosophy, while clearly an attempt to move beyond the confines of the dominant Catholic theology of his era, is more clearly understood in conjunction with Christian thought. Although not commensurate with the Christian God, Heidegger’s thinking about God, though not to the fore, is to be found scattered through several of his works. Accordingly, this paper will attempt to trace those references which speak to his conception of the divinity. To this end, we will start with a discussion of theology and philosophy and then move to a critique of the concepts of ontological difference and the existential God. Building on the concept of the disclosure or unconcealment of being, we look at his ontology and its connections with his conception of God. This focus provides building blocks for analysing the horizon of the post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God. Namely, and perhaps one of the causes of present-day atheism, by forgetting about ontological difference, contemporary culture is unable to grasp the specificity of divine being. Heidegger’s thinking, in giving expression to this specificity through linking the Nothing with the divine and his thinking about the coming gods, provides fruitful grounds for new thinking which address our contemporary world. Not the least of which is the providing the possibility of thinking which might move us beyond the nihilism of contemporary culture. The paper concludes with an analysis of Heidegger’s logos which, it is hoped, provides a clue towards thinking about the underlying spirituality being disclosed in Heideggerian thought.이 글은 하이데거의 신 개념을 밝히는 논의를 담고 있다. 하이데거는 분명 가톨릭 신학의 유래를 딛고 있으며, 그의 철학 역시 그리스도교 신학과의 연관하에서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작품 여러 곳에서 신에 대한 사유를 전개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이것이 그리스도교 신학적 신 이해와 상응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신에 대한 논의가 그의 철학 전면에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신에 대해 언급하는 하이데거의 저서 몇몇을 중심으로 그의 신 개념을 추적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신학과 철학을 논의한 글을 시작으로 존재론적 차이 개념과 실체론적 신 개념 비판을 고찰한다. 이어 그의 존재 드러남을 중심으로 한 그의 존재론과 신 개념의 연관성을 논의한 뒤, 이를 바탕으로 탈형이상학적 신 이해의 지평에 대해 해명한다. 존재론적 차이를 망각함으로써 존재자만을 바라보는 현대 문화는 신의 존재적 특성을 보지 못한다. 이러한 오류가 현대의 무신론을 초래한 원인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그러기에 신 이해의 무(無)적 특성과 함께, 도래하는 신을 말하는 하이데거 사유를 바탕으로 해서 우리 시대를 해명할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은 이런 논의에서 풍부한 영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사유의 가능성이 현대 문화의 니힐리즘적 현상을 극복할 계기도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논의를 이 글은 로고스(logos) 해명과 그에 근거한 영성적 사유를 위한 단초로 제시하고자 한다.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