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 영어회화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행동을 살펴보고 이와 같은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개념화하기 위해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경험한 비대면 영어회화 수업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 변화에 대한 현상에 대해 심층 한 자료에 근거하여 귀납적 접근으로 이론을 도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개방, 축, 선택 코딩의 3단계 분석을 거쳐 통합 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종류의 활동을 통해서 상호적인 의사소통을 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비대면 수업 초기에 느꼈던 회의감은 학습동기와 자아실현의 의미를 찾는 방향으로 바뀌어 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호 전략은 양방향 의사소통의 방법으로부터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교수와 학생들 간의 소통의 의미가 다름을 알 수 있었고, 상호간의 공감적 이해가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aims to structuralize and identify how the awareness of participation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virtual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changed. To analyze the 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in virtual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and their behavioral changes, grounded theory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inductive approach and theorizing aforementioned phenomena. For this, an integrated framework was suggested based on core categories with open, axis, and selective coding. Findings showed that, 20 students made an effort in interactive communication through the virtual lessons, and their feelings changed from skepticism towards their virtual-learning college experiences to seek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the meaning of self-realization in virtual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In addition, interactive strategies were required in seeking bi-directional communicative method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needed to realize how their methods of communication were different from others and to have an empathic understanding of oth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