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력모형'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교역패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양국간 교역규모를 결정하는 구체적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교역규모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력모형을 양국간 교역이 거리에 반비례하고 경제규모에 비례한다는 가정에 기초한 모형으로 그동안 국제무역이론에서 간과되어 왔던 거리, 인구, 인접여부 등의 지리적 요인까지 고려함으로써 양국간 교역량을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모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중력모형의 기본설명변수인 GDP, 거리 및 인구 이외에도 무역보완도지수(TCI)와 APEC을 새로운 설명변수로 추가하여 우리나라의 교역패턴이 헥셔-올린모델과 제품차별화 모델 중 어느 모델에 더 잘 부합하는지의 여부와 지역경제권이 우리나라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력모형의 예측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교역패턴은 헥셔-올린모델에 기초한 산업간 교역의 형태를 띄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접한 거리에 있으며, 경제규모가 큰 국가와 교역을 할수록 교역규모가 확대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일본 및 중국과의 경우 지리적 요건이나 경제규모로 볼 떄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의 실제교역량이 중력모형에서 예측된 교역량에 크게 미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양국간에 상당한 무역장벽이 존재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국가들과 보다 심화된 형태의 무역자유화를 추진함으로써 잠재적인 교역규모를 더욱 확대시키고 교역에 따른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nglis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Korea’s trade patterns based on the gravity model and to suggest possible ways to expand trade by identifying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Korea’s bilateral trade flows. The gravity model assumes that trade flows between two countri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conomic size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m. In this paper, new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the Trade conformity Index and APEC membership, were also included in order to examine the peculiarity of Korea’s trade pattern? whether they follow the Heckscher-Ohlin model or the Differentiated Product Model? and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a regional economic bloc on Korean bilateral trade flow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Korea’s bilateral trade patterns fit the basic gravity model well and that inter-industry trade, as explained by the Hckscher-Ohlin model, is more prevalent in Korea’s international trade.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bilateral trade volumes, it spears to be more desirable for Korea to promote bilateral trade with countries in close proximity and having large economies. However, Korea’s actual trade volumes, with countries like Japan and China which, in terms of economic size and distance, present greater advantages, seem to fall short of the trade volumes predicted by the gravity model. This impli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trade barriers between Korea and these countries. Therefore, by promoting a deeper form of trade liberalization with both Japan and China, Korea is expected to fully exploit its trade potentials and maximize the gains from trad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