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일제는 1914년에 조선의 행정구역을 전면적으로 조정한다. 요체는 기존의 329개 군을 12개의 부와 220개의 군으로, 4,300여 개의 면을 2,500여개로 통폐합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조선의 행정구역은 2단계 군급이 67%, 3단계 면급이 58%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행정구역 변동은 조선 이래 유례 없는 대대적인 사건이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대체로 제도사적 관점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행정구역은 기본적으로 영역(面, polygon)이 전제된 공간정보이므로,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 사건에 대해 공간적으로 접근, 공간적인 변화상에 주목한다. GIS 소프트웨어는 본 연구의 기본적인 분석 툴로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공간 분석을 위해 18세기부터 1914년까지의 면이력 속성DB와 공간DB 구축을 통한 면 단위까지의 행정구역 복원도를 먼저 제작하였다.BR 일제가 적용한 통폐합 기준은 군은 면적 40방리, 호수 1만 호, 면은 면적 4방리, 호수 800호이다. 충청남도는 군·면 모두 잔존율이 각기 37.8%와 44.5%로 가장 낮은데, 대체로 북선(北鮮)보다는 남선(南鮮)에서 변동이 많았다. 통폐합 원칙 적용은 절대적이지 않았다. 개편 직후 85개 부·군은 여전히 면적이 40방리 미만이고, 68개 부·군은 호수가 1만 호 미만이었다.BR 1914년의 개편은 단순히 행정구역 조정이 아니라 지역인식 또는 지역 전통에 대한 일대 파격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사건이다. 조선이 향촌사회를 500년 이상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성리학으로 무장한 혈연공동체(성씨)가 기본적으로 군현 지역을 근거지와 매개체로 삼은 점도 중요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은 물론 선조를 포함한 혈연의 공간적·지역적 존립 근거였던 군의 소멸은 그들에게 적잖은 충격이었다. 이러한 단절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그 단절의 시초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폐합 군에서의 군청의 위치 결정 과정, 군 단위의 전면 통폐합이 아닌 군 내 소지역 분할 후 통폐합 사례, 기준 적용의 예외 사례 등을 전국적인 차원에서 좀 더 면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