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태풍 혹은 국지성 집중호우로 유발되는 산사태 및 토석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 지역은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지형의 경사가 가파르고 토심 또한 얕아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의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5년간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위치 및 지형특성에 관한 GIS자료를 기반으로 임상도 및 토양도 등과 함께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유역의 특성을 추출하여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형적 특성은 토석류 발생유역의 발생부와 유하부의 지형적 특성에 따른 단순 계수에 의한 방법으로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임상 및 토양 특성은 GIS 기반으로 해당 속성의 면적비를 고려한 방법으로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석류 발생유역의 지형적 특성은 발생부의 경사, 폭, 심도, 거리, 경사향, 파괴 형태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유하부의 유하거리, 경사, 폭, 심도 등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석류 발생유역의 임상 특성은 임상, 영급, 경급, 밀도 등의 속성을 사용하였으며, 토양 특성은 배수등급, 유효토심, 심토토성, 심토자갈, 침식등급, 토양모재, 표토토성 등의 속성을 사용하였다. 빈도 분석 수행결과 토석류 발생부 및 유하부에 대한 지형적 특성과 토석류 발생 유역의 임상 토양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토석류 피해예방을 위한 합리적인 방재대책의 개발 및 적용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there are debris-flow disasters induced by typhoon and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annually. There are particularly extensive debris-flow disasters in Gangwon-do because of its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xtensive coverage of mountainous region, steep slope, and shallow soil.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a GIS database about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flow basin in Gangwon-do by years of field survey. Also,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is database with the digital forest type map and the digital soil map. We analyzed frequencies of debris-flow by simple count for topological characteristics, whereas we analyzed by considering an area ratio based on GIS for physiognomic and geologic characteristics. We used slope, aspect, width, depth and destruction shapes for analysis about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flow basin. Also we used attributes of forest physiognomy, diameter, age, and density about physiognomic characteristics, and i n terms of geologic characteristics, we used attributes of drainage class, effective soil depth, subsoil properties, subsoil grave content, erosion class, parent material of soil, and topsoil properties. In consequence, we figured out topographic, forest physiognomic, and geologic characteristics of debris-flow basin. This result is applicable to establish a rational disaster prevention policy as a fundamental inform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