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교신저자: 이규택, 135-710,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50번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Correspondence to: Kyu Taek Lee,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0 Irwon-dong, Gangnam-gu, Seoul 135-710, Korea. Tel: +82-2-3410-3409, Fax: +82-2-3410-6983, E-mail: happymap@skku.edu Financial support: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증례: 만성B형간염에 의한 간암으로 1년 전 생체간이식수 술을 시행받고 추적관찰 중인 45세 남자 환자가 외래 추적검 사에서 간기능검사에 이상소견을 보여 입원하였다. 과거력에 서 당뇨병이 있어 인슐린으로 조절 중이었으며, 내원 당시 활 력징후는 정상이었다. 진찰소견에서 간비대는 없었고 흉부와 복부청진에서 특이소견은 없었다. 면역억제제로 tacrolimus 4 mg bid, mycophenolate 500 mg bid 복용 중이었으며, B형간염에 대해 entecavir 0.5 mg qd, 그 외 aspirin 100 mg qd 복용 중으로 최근 수 개월 이내에 변경된 약제는 없었 다. 당시 시행한 말초혈액검사에서 총 빌리루빈 5.2 mg/dL, 간접 빌리루빈 3.4 mg/dL, AST 371 IU/L, ALT 548 IU/L, ALP 1,462 IU/L, GGT 1,255 U/L, 공복혈당 204 mg/dL였으 며 다른 혈액검사에서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복부 도플 러 초음파 검사에서 간 실질에 국소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으 며 간동맥, 간문맥, 간정맥의 혈류는 정상이었다. 내시경적 역 행성췌담관조영술에서 간담도 접합부에 협착부위가 관찰되어 (Fig. 1A) 풍선확장술(6 mm 직경의 허리케인 풍선으로 11 atm 압력으로 1분 간 확장) 시행 후에, 직경 6 mm, 길이 12 cm의 완전 피막형 자가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협착부위에 삽 입하였다(Fig. 1B, D, E). 이 금속 스텐트는 간이식 환자의 협착부위가 대부분 문합부(anastomosis site)임을 감안하여,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간내 담관 안에 근위부가 위치하므로 직경은 6 mm로 하고 근위부 주변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인 접한 간내 담관의 담즙흐름을 돕고, 원위부에는 실크 올가미 를 달아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새롭게 고안된 완전 피막형 자가팽창성 금속스텐트(self-expandable metal stent)였다 (Fig. 2). 이후 간기능 검사소견은 정상화되었으며, 3개월 뒤에 추적 내시경적 역행성췌담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이전에 삽입한 금속 스텐트의 실크 올가미를 잡아당겨 금속 스텐트를 제거한 후에 담도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이전에 관찰되었던 협착부위 는 현저하게 넓어져 있었다(Fig. 1C, F). 더 이상의 시술은 시 행하지 않고 경과 관찰하기로 하였다.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