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Globalization and the rise of ‘Korean cool’ provide middle‐class Korean yuhaksaeng (visa students) in Toronto with resources they can mobilize as strategies of distinction. In their construction of themselves as new transnational subjects with hybrid identities that are simultaneously global and Korean, yuhaksaeng deploy re‐valued varietie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stylistic resources in the globalized new economy. In this process, yuhaksaeng contest their marginal positions as ‘FOBs’ (Fresh‐Off‐the‐Boats) and ‘Nerds’ in dominant Western racial discourse, and construct themselves as wealthy, modern, and cosmopolitan ‘Cools’vis‐à‐vis long‐term immigrants in local Korean diasporic communities as well as Canadians. The stories of yuhaksaeng illustrate how notions of ‘global’ and ‘local’ linguistic resources are transformed under the material conditions of globalization and its structures of inequality.세계화와 ‘한국적 쿨’의 등장은 토론토에 거주하는 중산층 한국 유학생들이 차별화를 위해 사용할수 있는 자원을 제공한다. 유학생들은 세계화로 인한 새로운 경제체제에서 새롭게 가치평가된 한국 언어와 문화를, 자신들을 글로벌하면서도 동시에 한국적인 혼성적 정체성을 가진 새로운 초국가적 주체로 스타일링하기 위한 자원으로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유학생들은 서양의 지배적 인종 담론내에서의 ‘FOBs’ (Fresh‐Off‐the‐Boats) 와 ‘Nerds’ 와 같은 주변인 정체성에 저항하며, 자신들을 토론토에 거주하는 캐나다인들뿐 아니라 오래된 한국이민자들과 대비하여, 부유하고 모던하며 코스모폴리탄적인 ‘쿨’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 글에 나타난 유학생들의 이야기는 세계화의 물질적 조건과 그 불평등의 구조 속에서 언어자원의 세계성과 지역성이 어떻게 변형되는지의 사례를 보여준다. [Korea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