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연구배경 디지털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디지털 폐인(廢人) 문화 역시 일반 사람들에게 확산되어 가고 있고, 소비, 패션, 음악, 문화 등 대중들에게 영향을 크게 끼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폐인 문화는 미래의 소비 패턴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에 미국 팝 뮤지션들의 영상에 나타난 패션 특성을 디지털 폐인 문화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패션 브랜드 이미지 기획, 광고 등 패션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로는 디지털 폐인 문화에 대해 관련 문헌, 논문, 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실증연구로는 미국 팝 뮤지션 동상에 나타난 패션 특성을 디지털 폐인 문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폐인 문화의 특징은 오류, 퇴행, 가변, 이탈 총 4개로 분류되었고 이러한 특징들은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의 패션의 특성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오류 이미지는 언어 파괴가 시도되면서 오류 및 버그가 나는 언어게임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오류가 나는 화면이 자주 출현되었다. 둘째, 퇴행 이미지는 아이러니와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전 기술을 사용하는 퇴행 적 이미지가 자주 출현되었다. 셋째, 가변 이미지는 다중정체성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정체된 대상이 변화하는 가변 이미지들이 자주 출현되었다. 이탈 이미지는 카니발화와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미국 팝 뮤지션 동영상에는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몸부림치면서 강박증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현실 세계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카니발을 꿈꾸는 듯한 이탈 이미지들이 자주 출현되었다. 결론 미국 팝 뮤지션들은 디지털 폐인의 문화를 이해하고 디지털 폐인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영상을 선보이고 있다. 또한 패션 브랜드의 모델, 디자이너 그리고 자신의 고유 브랜드를 런칭하여 음악뿐만 아니라 패션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팝 뮤지션의 동영상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대한 고려는 트렌드를 선도하는 이미지를 창출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