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유학사를 성리학의 개념이 아닌 경전 해석의 대상에 대한 문제의식, 곧 주제와 그러한 주제의식을 견인하는 관심사의 시야에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분석대상을 구체화 할 수 있으며, 해석의 맥락을 좀 더 폭넓게 비교하고 검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아울러 여말선초의 사상은 중간기나 과도기라는 전형성의 입장에서 파악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텍스트의 논점을 바탕으로 그 실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맹자 의 몇 가지 핵심논점을 기초로 주제의식과 관심사의 입장에서 여말선초의 유학사를 파악하려 했다. 여말선초의 학자들에게 맹자 는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데 유용한 경전적 전거가 되었다. 맹자 는 토지문제에 대한 중요한 논의의 거점이 되었고, 仁政과 王道의 구현이라는 정치적인 이슈에서도 활용되었다. 그들은 맹자의 주장을 근거로 때로 왕실권력이라는 절대 권력에 대한 비판으로도 적극 활용했다. 그 방식은 대체로 맹자 텍스트의 원천적 성격을 충실하게 원용하는 것으로 그 적극성과 빈도는 조선 후기적 상황을 압도하는 것이다. 심성수양론적인 주제는 이와 달리 성리학의 논리가 이미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다만 그 층차는 조선 후기의 四端七情論이나 人物性同異論과 같이 마음에 대한 이해를 분석적으로 더 한층 진전시킨 분석적이고 세밀한 방식은 아니었다. 대체로 경전의 주장에 충실하고 어느 정도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식이었다. 벽이단의 관점에 있어서 여말 선초의 학자들은 맹자 자체의 벽이단적 성격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접근했다. 그 논리의 정밀함과 정합성 여부는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으나 불교가 여전히 사회적으로 사상적으로 영향력을 지니고 있던 당대 상황을 고려하면 벽이단론이 지니는 사회사상으로 서의 변혁논리는 여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것은 유학 내부의 벽이단론으로 치열하게 전개된 조선 후기적 상황과는 결을 달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맹자 를 논점으로 하는 주제와 관심사에 대한 분석은 여말선초의 유학사의 단면을 파악하는데 유효하고 전략적인 거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맹자 의 논점에 대한 주제인식과 관심사는 이후 조선에서 주자학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유학의 사상적 비중이 확장되면서 점차 다른 논점으로 전환된다. 이는 경학 연구를 통해 사상적 변화를 포착하는 방법적 시도로서의 유의미성이 될 터이다.There is a need to describe the history of Confucianism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cept of neo-Confucianism but based on the awareness of issues, that is, from the viewpoint of the matters of interest that invoke subjects and the subject consciousness. It is all the more so in that the subject of analysis will be able to be materialized along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ntext of interpretation in a more broadened manner. In addition, the thought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point of concrete text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typicality of being an intermediate or transitional period.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has sough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 consciousness and matters of interest based on several key points of Mencius. To the scholar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Mencius served as a useful scriptural authority in effectively presenting their ideas and thoughts. Mencius became the base of debate on land issues and was also utilized in political issues of implementing compassionate politics and the rule of right. They often used the Mencius’ claims as a vehicle to criticize the absolute power of the Crown. It faithfully quoted the original nature of the Mencius texts with its assertiveness and frequency overwhelming the circumstances in late Joseon dynasty. Unlike this, the subject of cultivating mind and character had already actively utilized the logic of neo-Confucianism. However, its approach was not intended toward further adv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ind in an analytical and detailed manner as demonstrated in the theory of four beginnings or the theory that human being and an animal have the same or different nature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Mostly, the approach was taken to be faithful to the claims of the scripture and to emphasize the practical aspects to some extent. When it comes to the perspectives of the anti-heresy theory, the scholars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showed more interest in the anti-heresy nature of Mencius himself. Understanding the preciseness and consistency of the logic requires more examination bu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when the Buddhism exerted its social and ideological influence, the logic of revolution as a social thought held by the anti-heresy theory is still worth attention. It is not aligned with the circumstances in late Joseon Dynasty period challenged by the anti-heresy nature within Confucianism. In conclusion, the analysis on subjects and matters of interest with Mencius serving as a controversial point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period and is identified to well serves as a strategic base. The subject awareness and matters of interest in the Mencius’ points were converted to other points as interest in neo-Confucianism deepened and the ideological weight of Confucianism expanded. This will be meaningful as a methodological attempt to capture ideological changes through studies on Confucian Classic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