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비디오 모델링은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적 및 행동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증거기반 교수방법이다. 하지만 비디오 모델링의 학업기술 특히 읽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영유아 및 학령기 장애학생의 비디오 모델링이 읽기교수에 사용된 국내외 실험연구들의 연구 동향 분석 및 그 효과성을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언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2018년까지 출판된 국내외 연구 13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들의 개괄적 특징, 비디오 모델링의 읽기교수에의 적용 및 그 효과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비중복 비율기법 (PND)을 활용한 메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분석대상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비디오 모델링이 장애학생의 읽기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지만 중재효과크기는 작으며 유지효과는 중간크기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디오 모델링의 읽기교수 적용 관련 후속 연구에 대한 논의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video modeling is an evidence-based practi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nhance their social, communication, functional and behavioral skills. However, there is a small body of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 on academic skills, especially read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is topic and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on the reading achievement of Pre-K to 12th grad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study, a total of 13 studies published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through 2018 were selected. The studies were analyzed for overall study characteristics (e.g., publication year,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use of video modeling for reading instruction (e.g., the type of video modeling, interventionist, target reading skills), and effects (i.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he PND computed indicated a small effect for the intervention and a medium effect for maintenance.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