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두 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놀이 기술 및 놀이와 관련된 사회적 시작행동에 대한 모델링 및 자기점검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놀이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중재로는 아동의 놀이 기술 및 사회적 시작행동의 학습을 위해 모델링과 자기점검 전략이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 아동들의 놀이 기술 및 놀이 관련 사회적 시작행동이 향상되었고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아동들의 놀이 기술이 유지되었다. 참여 아동 중 한 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은 중재가 제거 된 후에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 아동 어머니의 중재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에서 중재 목적이 의미 있고, 절차가 적절하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odeling an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play skills and social initiations of two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lay was employe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modeling and self-monitoring, self-monitoring only, and maintenance. The children were taught the appropriate play skills and social initiations related to the play context using the modeling an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and then they used only self-monitoring after the modeling was remov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ing an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lay skills and play-related social initiations of both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maintained the increased play skills after removing the intervention. The social validity assessment data indicated that the intervention was meaningful and effective, and the procedures were acceptabl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