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나 돌봄 문제와 관련하여 세대 간 갈등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사회 진출과 함께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은 자녀 돌봄의 문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고, 이에 따라 조부모를 통한 손자녀 돌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돌봄은 조부모의 측면에서는 손자녀 돌봄에 따른 생산감 혹은 부담감 증가와 관련 될 수 있고, 돌봄을 제공받는 손자녀 측면에서는 손자녀가 노인과 직접 상호작용하고 접촉하는 기회를 갖게하며, 이는 노인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는 손자녀 측면의 경험에 주목하여, 청년 남녀를 대상으로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경험의 유무, 시기, 기간)이 청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돌봄 경험과 노인에 대한 태도(이미지, 수용성, 위협인식, 정책지원)의 관계에 있어 돌봄 당시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정서적 결속 및 갈등)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39세의 제주 및 부산에 거주하는 청년 남녀를 대상으로 한 363부의 설문조사자료를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조부모를 통한 돌봄 경험이 있는 집단이 돌봄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노인에 대한 국가의 정책지원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이 이루어진 시기가 생의 발달단계에서 상대적으로 빠를수록 노인에 대한 수용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돌봄 시기가 이르지만 조부모와 갈등이 높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노인에 대한 수용성이 낮았다. 생애발달 관점에서 돌봄 경험을 경험 유무(occurrence), 시기(timing), 기간(duration)등으로 세분화해 노인에 대한 태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부모와 손자녀의 관계의 질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핀 이 연구의 결과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세대 간 갈등에 대한 논의와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andparents caregiving on their young adults grandchildren’s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on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parents’ caregiving and young adult grandchildren’s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The study used a sample of 363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group who experienced care from grandparents reported positive attitude toward older adults for the policy support. Second, those who experienced care from their grandparents earlier in their live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lder adults for acceptabilit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emotional cohesion and confli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timing and duration of care and attitudes toward the older ad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aring experiences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occurrence, timing and duration of car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