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부지화[不知火, Shiranuhi, (Citrus unshiu <TEX>${\times}$</TEX> C. sinensis) <TEX>${\times}$</TEX> C. reticulata)]의 과실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체계를 확립하고 부지화 재배농가의 소득 증대를 위하여 봄철 눈의 발아 및 개화 시기의 가온처리가 부지화의 생장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른 봄철에 가온처리I(<TEX>$25/15^{\circ}C$</TEX>, 주간/야간) 또는 가온처리II(<TEX>$28/18^{\circ}C$</TEX>, 주간/야간) 조건에서 2월 중순부터 5월 말까지 100일 동안 재배하였을 때 대조구인 무가온 시설재배에 비하여 눈의 발아가 각각 11일, 15일 정도, 만개시기는 각각 22일, 45일 정도 앞당겨졌다. 구엽당 발생하는 봄순의 수는 가온처리구에서 감소하지만 봄순의 평균 길이와 엽면적은 증가하였다. 평균 과중 또한 봄철 가온처리에 의해 더 증가하였으며 과형지수는 측정시기에 관계없이 가온처리구에서 1.0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봄철 가온처리 시에는 과피가 일찍 착색되어 수확시기를 1-2개월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수확기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대조구와 가온처리I에서 각각 13.9와 <TEX>$13.6^{\circ}Brix$</TEX> 정도로 가온처리II에서 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산 함량은 가온처리II에서 가장 낮았으나 유의성이 없었고, 당산비는 처리간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부지화 과실의 조기 수확 및 수확량 증대, 크기가 크고 당도가 높은 고품질 과실의 생산 등을 위해 봄철 생육기의 온도를 <TEX>$25/15^{\circ}C$</TEX>(주간/야간) 조건으로 재배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The effects of elevated spring temperatures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the mandarin hybrid 'Shiranuhi' [(Citrus unshiu <TEX>${\times}$</TEX> C. sinensis) <TEX>${\times}$</TEX> C. reticulata] were investigated in plastic greenhouses, to develop a cropping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ruit and increase the income of growers on Jeju Island, South Korea. Under conditions of elevated temperature I (<TEX>$25/15^{\circ}C$</TEX>, day/night) and elevated temperature II (<TEX>$28/18^{\circ}C$</TEX>, day/night) during early spring, budburst was advanced by 11 and 15 d, and full bloom by 22 and 45 d,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the plants grown at ambient air temperature in a plastic greenhouse. Elevated temperatures decreased the number of spring shoots but increased mean spring shoot length and leaf area. Growing 'Shiranuhi' trees at elevated temperatures resulted in increases in mean fruit weight and fruit L/D ratio (> 1.0). In addition, fruit color development was significantly advanced in trees grown under elevated temperatures during early spring, which allowed the fruit to be harvested 1-2 months earlier than trees grown under ambient air temperature. Fruit soluble solids content (SSC) and titratable acidity (TA) at harvest were similar between elevated temperature I and ambient air temperature,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at elevated temperature II. Considering fruit quality, harvest time, and yield, the elevated temperature treatment regime of <TEX>$25/15^{\circ}C$</TEX> (day/night) during early spring could be useful for cultivation of the mandarin hybrid 'Shiranuhi' to increase the income of grow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