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유아교사들의 소진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집중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정교화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분석은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응답을 녹음한 후 전사하여 초기코딩, 초점코딩, 이론적 코딩의 과정을 거쳤다. 이론적 코딩은 데이터에서 출현하는 주제에 따라 소진에 대응하는 교사들의 행위와 전략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1) 교사가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소진 2) 교사가 대응하는 소진3) 교사를 변화시키는 소진으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나타난 범주 및 하위 범주는 유아교사들의 소진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정체성 형성 이론으로 이론화되었다. 논의는 유아교사가 그들의 개인적,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키는 데 있어 소진 경험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어떻게 연결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자아를 확인하는 소진, 둘째,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소진, 셋째, 대응을 위한 의도적 행위를 생성해 내는 소진, 마지막으로 필연적인 전문성 생성으로의 소진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burnou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contextual theory from the data. Eight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were interviewed intensively, and their stories were elabor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armaz's(2014)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including initial coding, focus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Theoretical coding focused on teachers' behaviors and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ir burnout with themes emerging from the data. The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identified in the results were theorized as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e burnout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iscussion focused on how burnout i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Specifically, the discussion centered on four aspects of burnout: 1)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self; 2) burnout as a means of confirming professional identity as a teacher; 3) burnout as a means of creating intentional actions for response; and 4) burnout as a means of inevitably creating professionalis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