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은 DVB-RCS NG(Next Generation) 에서 제안된 3차원 터보 부호와 터보 <TEX>${\Phi}$</TEX>부호를 각 부호화율에 따라 성능 비교 분석하였다. 터보 <TEX>${\Phi}$</TEX> 부호에 있어서 기존의 이중 바이너리 구조에서 3진 바이너리 구조로 확장 될 때, 최적의 치환 패턴과 천공 패턴 분석을 제시하였다. 또한 3차원 터보 부호에서, post-encoder의 형태, 인터리빙 기법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므로 각 파라메타에 대한 최적의 값을 제시하였다. 최적의 파라메타 설정을 근거로 성능분석 결과 터보 <TEX>${\Phi}$</TEX> 부호와 3차원 터보 부호가 기존의 DVB-RCS 터보 부호가 가지고 있었던 오류 마루 현상을 극복함을 알 수 있었고 터보 <TEX>${\Phi}$</TEX> 부호가 3차원 터보 부호에 비해 성능이 약간 우수하나 계산량 측면에서는 약 18% 정도가 복잡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d performance of three dimensional turbo code and turbo <TEX>${\Phi}$</TEX> codes proposed in the next generation DVB-RCS systems. In the view of turbo <TEX>${\Phi}$</TEX> codes, we proposed the optimal permutation and puncturing patterns for triple binary input data. We also proposed optimal post-encoder types and interleaving algorithm for three dimensional turbo codes. Based on optimal parameters, we simulated both turbo codes, and we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urbo <TEX>${\Phi}$</TEX> codes are better than that of three dimensional turbo codes. However, the complexity of turbo <TEX>${\Phi}$</TEX> is more complex than that of three dimensional turbo codes by 18%.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