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세계자연유산으로서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가치와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예비 타당성 검토를 실행하고, 향후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UNEP WCMC, IUCN 자료를 바탕으로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국제적 인지도, 기존 세계유산들과의 차이 분석,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기준을 바탕으로 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백두대간보호지역의 가치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 및 세계자연유산으로서의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최근 세계유산 동향을 고려하였을 때, 백두대간은 생태적연결성, 생태·경관과 문화 사이의 상호작용, 국가적인 관리체계의 구축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성 세계유산, 복합유산, 초국경유산으로의 잠재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인 연구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그리고인식 제고 노력을 통해 백두대간의 가치 증진이 이뤄지고, 궁극적으로 남북이 연계된다면 세계유산 공동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otential of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BDMS) inthe Republic of Korea for World Heritage inscription and undertook preliminary global comparative analysis.UNEP WCMC global datasets, World Heritage global gap analyses and thematic studies conducted by IUCNwere reviewed to see if the BDMS could have been identified within these as a priority area for World Heritage.With respect to potential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his study found that the case for BDMS was weak. TheBDMS lies within biogeographic regions which are already represent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and at aglobal scale its natural values do not stand out. It was emphasized that a more fine scale analysis of the valuesshould be undertaken. The BDMS stands out at a global scale in terms of the degree of contiguity betweenprotected areas along its length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esta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The BDMS has potential for a trans-national and serial properties along the full length of the BDMS, if twoKoreas agree to work together.Key word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