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초 록 본 연구는 양산 통도사 괘불탱의 손상 및 채색 상태 ìœ í˜•ì— 대한 자료를 í™•ë³´í•˜ê³ , 비파괴 방법과 박락된 시편의 교차분석을 통한 채색 안료의 ì¢ ë¥˜ë¥¼ ë°í˜€ë‚´ê³ ìž 하였다. 괘불탱의 손상 ìœ í˜•ì„ 확인한 ê²°ê³¼, 꺾임과 ì ‘íž˜, 들뜸, 결실, 박락 등이 관찰되었다. 채색 안료 분석 ê²°ê³¼, ì ìƒ‰ 계열의 안료는 연단과 진사, ìœ ê¸° 안료가 ì‚¬ìš©ë˜ì—ˆê³ , ë ¹ìƒ‰ 안료는 공작석과 염화동(ë ¹ì—¼ë™ê´‘)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과 êµ°ì²­, 백색 안료는 연백과 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 다. 또한, 황색 안료는 연백과 ìœ ê¸°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연백 위에 ìœ ê¸° 안료를 ë§ì¹ í•˜ì˜€ìœ¼ë©°, 흑색 안료는 먹을 사용 했을 것으로 ì¶”ì •ëœë‹¤. 박락된 시료를 수습하여 안료의 ìž ìžìƒíƒœ 분석을 통해 ë ¹ìƒ‰ì•ˆë£Œì˜ ê²°ì •í˜•ì„ 쉽게 êµ¬ë¶„í• ìˆ˜ 있었으며, 진한청색과 연한청색도 마찬가지로 ìž ìžì˜ 크기나 형태가 원료의 상이함에 따라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색과 자색은 ìž ìžê°ì´ 없는 ìœ ê¸°ì•ˆë£Œë¥¼ 사용하였으며, 특이하게 어두운 ì ìƒ‰ì€ 주황색과 먹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심어: 통도사, 괘불, 비파괴 분석, 무기안료, ìœ ê¸°ì•ˆë£Œ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