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데이터 기반 학습은 언어 교육에서 말뭉치를 직접 활용하는 것으로 언어 학습자의 시험 성적과 학습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어 문법 교육 분야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의 장점과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우선, 설계⋅계발 연구 방법론에 따라, 첫째 데이터 기반 학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학습 모형을 도입, 기능과 규칙 찾기, 문법 규칙 설명, 개인 과제, 그룹 활동, 마무리의 여섯 개의 학습 단계로 제시하였다. 추가로 이 여섯 단계를 바탕으로 미국의 한국어 강사와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으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업 후 전문가 그룹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문가 그룹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말뭉치 자료와 활동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반면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말뭉치를 활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문법 수업을 위한 수업 모형이 한국어 학습자에게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한국어 학습자가 다양한 실제 한국어 문장에 노출되고 한국어 문법의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습득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자율성과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 모형의 개선점으로는 한국어 수업에서 말뭉치를 활용하기 위한 교사 훈련, 한국어 교육을 위한 말뭉치의 구축, 효과적인 피드백과 그룹 활동의 제공이 있었다. 후속 연구로 대규모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