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분노와 관련하여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노유발원인과 분노표 현방식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우선 이를 위해서 분노와 관련하여 유아의 분노유발원인과 분노표현방 식에 대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만 세 유아의 부모 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분노에 대한 분노유발원인 요인 문항 과 분노표현방식 요인 문항 을 추출하였다 분노유발원인의 하위요인은 형제관계 또래관계 양육 부모관계 미디어 수용 거부 였다 분노표현방식의 하위요인은 공격행동 거리두기 의사소통시도 떼쓰기 거부행동 화풀이 참기 울기 였다 분노유발원인 척도는 기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와 상관분석을 통해서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유아 분노유발원인 개 하위요인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비난 공격적 상황에 접함 불안 좌절감 경험 자존심 상함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분노표현방식 척도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의 분노표현방식척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노표출 은 분노표현척도의 공격행동 거리두기 의사소통 시도 떼쓰기 거부행동 다른 대상에 화풀이 울기 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분노억제 는 분노표현방식 척도의 공격행동 거리두기 떼쓰기 거부행동 다른 대상에 화풀이 참기 울기 와 유의 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분노조절 은 분노표현방식 척도의 공격행동 다른 대상에 화풀이 울기 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고 참기 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유아 분노유발원인 척도와 분노표현방식 척도는 유아 분노를 측정하는데 타당한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nger scale for young children to measure of anger cause and anger expression in young children. It was conducted through making preparatory questions on anger causes and anger expression in young children.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762 parents who have young children at the age of four or five, six factors of anger causes (33 questions) and eight factors of expression style (34 questions) were extra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18.0 was used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factors of anger causes are ‘siblings’, ‘peers’, ‘parenting’, ‘relation of parents’, ‘media’, and ‘unwilling to accept’. The sub-factors of anger expression are ‘aggressive actions’, ‘keeping distance’, ‘efforts to communicate’, ‘being fretful’, ‘rejective actions’, ‘venting to others’, ‘suppression and crying’. The scale of anger causes has adopted external validity through extant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KPDS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anger caus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For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analysis of STAXI-K(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was performed. ‘Anger-ex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behavior’, ‘distance’, ‘communication attempt’, ‘swarming’, ‘rejection behavior’, ‘whimpering to other objects’, and ‘crying’. ‘Anger-i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ve behavior’, ‘distance’, ‘swarming’, ‘rejection behavior’, ‘whimpering to other objects’, ‘tolerance’, and ‘crying’. ‘Anger-control’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ggressive behavior’, ‘whimpering to other objects’, ‘crying’,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ndurance’.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scales of anger causes and anger expression of young children’s anger have high-validity scal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