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게슈탈트 기법을 활용한 통합예술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64명이다. 총 145명의 학생들에게 Elliott(1990)의 교사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수정한 김향지(1996)의 척도를 실시하고, 그 중 교사용 문제행동평정 점수가 높은 순서로 64명을 선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32명, 통제집단 32명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60분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았다. 결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점수를 이용하여 독립 F 검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점수를 통제한 후 사후 및 추후의 집단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사전, 사후, 추후 간의 점수차이를 검증하였다. 결론 게슈탈트 기법을 활용한 통합예술 집단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나’를 주제로 시와 동화, 음악, 미술 활동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자아존중감 증진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목적으로 알아차림, 접촉, 상호지지 및 관계성 향상, 체험통합을 내용으로 16회기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가 지속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게슈탈트 기법을 활용한 통합예술 집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발달과 적응을 돕는 예방적 학교상담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