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evaluate parenting str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and the Philippines. The concept of parenting str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analysed with a hybrid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273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and the Philippines who were raising their children aged 1 to 6 years. Thes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trait/multi-item matrix assessme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internal consistency measurement. The final instrument consisted of 28 items. The following six factors were extrac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sufficiency of parenting support system', 'role burden of mothers', 'maladjustment of children', 'confusion of parenting method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unskilled Korean communication', and 'ordinary difficulties'. Construct validit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confirmed. Cronbach's α value of total items was .92(95% CI .91-.94). Cronbach's α of values for these factors ranged from .76 to .85. The parenting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Highlights

  • Delay in their child's linguistic development Their child's poor academic development Discrimination and ignorance their child is going through Child's identity confusion

  • 마지막으로 본 측정도구는 간호 학생과 간호사에 게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 속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양육 스트레스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교육 자료가 될 것으로 생 각한다

Read more

Summary

Immigrant Women

이에 본 연구는 만 1세부터 6세까지의 자녀를 둔 베트남과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과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양육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개발하 고 평가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2) 현장분석 대상자는 D시와 K 지역에 거주하면서 만 1세부터 6세까지 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베트남과 필리핀 여성결혼이민자 7 명으로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한 여성결혼이민자를 선정하 였다. (2)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정 초기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위한 전문가는 다문화 연구와 양육 스트레스 연구 경력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 4인, D 대학교 다문화연구소 연구원 1인, K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센 터장 1인, 생활지도사 1인, 그리고 만 6세 자녀를 양육하고 있 으며 한국에 거주한지 10년 이상 된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 1 인, 총 8명으로 구성하였다. 이론분석 단계와 현장분석 단계를 토대로 여성결혼 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의 개념을 정의하면, 여성결혼이민자 가 한국에서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일상적인 어려움, 어머니 역할 부담, 양육지원체계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문화 차이로 인한 양육방식 혼동, 서툰 한국어 의사소통으로 인한 어려움, 자녀의 부적응에 대한 어려움과 긴장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의 범주별 개념 정의는 다 음과 같다. 먼저, 일상적인 어려움은 여성결혼이민자가 겪는 양육과 가사일로 인한 버거움(속성)과 양육으로 인한 신체적 인 고통(속성)과 구속감(속성)이다. 어머니 역할 부담은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 적응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양육을 하면서 겪게 되는 이중 부담(속성)과 양육에 대한 긴장감(속성), 자녀 교육의 어려움(속성), 앞으로 자녀교육에 대한 답답함(속성), 부족한 어머니 역할에 대한 좌절감(속성)과 자녀에게 미안함 (속성)과 죄책감(속성)이다. 양육지원체계 부족은 여성결혼이 민자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양육지식 부족으로 인한 어려 움(속성), 양육과 교육정보 지원 부족(속성), 경제적 부담(속 성), 남편의 양육 도움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속성), 양육에 대 한 자신감 저하(속성)이다. 문화 차이로 인한 양육방식 혼동은 여성결혼이민자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모국과 다른 양육 방식의 혼동(속성), 양육에 대한 가족 간의 갈등(속성), 한국의 낯선 교육제도에 대한 어려움(속성)이다. 서툰 한국어 의사소 통은 여성결혼이민자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자녀와의 의 사소통 어려움(속성), 자녀와 관련된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데 어려움(속성)이다. 자녀의 부적응은 여성결혼이민자가 자 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속성), 학업부진 (속성), 사회적 차별과 무시(속성), 정체성 혼란에 대한 걱정(속 성)이다

Maladjustment of children
Ordinary difficulties
Total items
Findings
Confusion of parenting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