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ë°°ê²½ 및 ëª©ì  언어와 ë°€ì ‘í•œ ê´€ë ¨ì„ 보이는 교차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연구에 있어 다문화 수용성과 한국어와의 ê´€ë ¨ì„±ì— 대한 다문화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한국어와 외국어(다문화 ì²­ì†Œë „ì˜ 어머니 모국어)에 다양하게 ë ¸ì¶œë˜ì–´ 있는 다문화 ì²­ì†Œë „ì„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한국어와 외국어 4가지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사용 ëŠ¥ë ¥ì—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í•œêµ­ì²­ì†Œë „ì •ì± ì—°êµ¬ì›ì˜ ë‹¤ë¬¸í™”ì²­ì†Œë „íŒ¨ë„ì¡°ì‚¬(MAPS)의 2ì°¨(2012ë „, 만11세) 1,439ëª ê³¼ 5ì°¨(2015ë „, 만 14세) 1,238ëª ë‹¤ë¬¸í™” ì²­ì†Œë „ì„ 대상으로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는 ì–¸ì–´ëŠ¥ë ¥(다문화 ì²­ì†Œë „ì˜ 한국어와 외국어, 다문화 ì²­ì†Œë „ 어머니의 한국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ì˜ì‚¬ê²°ì •ë‚˜ë¬´ëª¨í˜• 분석을 실시하였다. ê²°ê³¼ 만 11세 초등학교 5í•™ë „ 다문화 ì²­ì†Œë „ì—ê²Œ 있어서는 다문화 ì²­ì†Œë „ì˜ 한국어 말하기 ëŠ¥ë ¥ê³¼ 다문화 ì²­ì†Œë „ 어머니의 한국어 쓰기 ëŠ¥ë ¥ì´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ê·¸ë¦¬ê³ ë§Œ 14세 중학교 2í•™ë „ 다문화 ì²­ì†Œë „ì—ê²Œ 있어서는 다문화 ì²­ì†Œë „ 어머니의 한국어 ë“£ê¸°ëŠ¥ë ¥ê³¼ 다문화 ì²­ì†Œë „ì˜ 한국어 ë“£ê¸°ëŠ¥ë ¥ì´ 다문화 ì²­ì†Œë „ì˜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는 변수로서 작용하였다. ë ¼ì˜ 및 ê²°ë¡ ìš°ë¦¬ê°€ 다문화를 수용하는 것은 외국어 ëŠ¥ë ¥ì— 의해서가 아니라 다문화 ì²­ì†Œë „ì˜ 한국어 ëŠ¥ë ¥ê³¼ 소수 다문화 대상자(이번 연구에서는 다문화 ê°€ì •ì˜ 어머니)의 한국어 ëŠ¥ë ¥ì´ 주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는 ê²°í˜¼ì´ë¯¼ìžê°€ì •ì´ 다수를 차지하는 한국 다문화 사회 íŠ¹ìœ ì˜ 현상일 수도 있으므로 ê²°ê³¼ 해석에 있어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 Keywords: ë‹¤ë¬¸í™”ì²­ì†Œë „íŒ¨ë„ì¡°ì‚¬(MAPS), 다문화 수용성, 언어 ìœ ì°½ì„±, ë‚˜ë¬´ì˜ì‚¬ê²°ì • 분석, ê²°í˜¼ì´ë¯¼ìžê°€ì •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