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모습 속에서 다가올 미래, 우리 초등 체육교육이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를 추정해 보고 그 변화에 우리가 어떻게 대응해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에는 미래사회(학교)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출판물, 연구 참여자들과의 개별⋅집단 면담 및 토론 자료, 전문가 패널에 의한 추정 등이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에는 질적 연구의 의미 추출과 해석 방법, 델파이 연구 방법에서 사용하는 미래 예측을 위한 추정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 확보를 위해서는 삼각검증, 구성원 간의 검토, 동료 간의 협의를 사용하였고, 윤리성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목적 알리기, 연구 동의 얻기 등을 사용하였다. 결과 교육과정 측면: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체육교과 영역의 재편 및 내용 영역의 확대, 최소 성취기준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삼원적 교육과정의 수립을 통해 예상되는 다양한 교육환경에 단위 학교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미래형 교과서에서는 체육교과의 내용 영역 확대, 미래 기술과 접목한 교과 교수⋅학습 내용을 다양하게 수록 함으로써 개별화, 다양화, 다변화 되고 있는 교육 현실에 대비하여야 한다. 교수⋅학습적 측면: 첫째, 대면 및 비대면 수업을 지원할 제반 기자재, 프로그램, 운영 기술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하다. 둘째, 메타버스(Meraverse)와 미래형 대면 수업에 활용할 교수⋅학습 프로그램, 교수⋅학습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수행할 교원의 역량 강화를 지속적으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래형 초등체육 수업에 대한 교수⋅학습이 필요하다. 평가적 측면: 첫째, 시간과 장소의 개방성과 한정성을 반영한 개인별 맞춤형 평가를 준비해야 하며, 다양한 상황별 평가를 수록한 매뉴얼 제작과 보급,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한 지속적 평가 자료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둘째, 인간 본위의 평가를 위한 인간 중심의 교육철학을 널리 보급할 필요가 있다. 결론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 하지만 그 미래를 준비하지 않으면 우리 아이들은 더 앞선 미래를 준비해 나아갈 수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기성세대인 우리는 본 연구에서 밝힌 내용들을 토대로 차근차근 다가올 세상을 준비해 후속 세대인 아이들에게 보다 밝은 교육적 세상을 물려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와 유사한 후속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미래 초등체육 연구의 탄탄한 기반이 다져지기를 기대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