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비육돈 체조직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CLA가 축적된 돈육의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전체 CLA 이성체가 50%인 CL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80<TEX>${\sim}$</TEX>110 kg 까지는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110 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 함량에 CLA를 2.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 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TEX>$^{\circ}C$</TEX>)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돈육등심의 CLA 함량, 콜레스테롤, 지방산 조성, 지방산화, 조직감 및 연도 등을 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전단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8일 까지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저장 11일과 14일에는 대조구가 CLA 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들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도는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착성은 대조구와 CLA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하게 차이나는 경향이 없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TBARS 변화는 전 저장기간동안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를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저장 2일에 대조구와 비교해서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으며(P〈0.05), T4 처리구가 가장 낮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전 저장기간동안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P〈0.05), 반면에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을 보면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 급여 처리구에서는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육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LA를 육내에 축적시킬 수 있으며, CLA가 축적된 돈육은 저장 중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능력이 있어 고품질 . 고기능성 돈육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dded diet feeding on CLA accumul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The CLA used to add in diet was chemically synthesized by alkaline isomerization method with corn oil. Pigs were divided into 5 treatment groups(4 pigs/group) and subjected to one of five treatment diets(0, 1.25% CLA for 2 weeks, 2.5% CLA for 2 weeks, 1.25% CLA for 4 weeks and 2.5% CLA for 4 weeks, CLA diets; total fed diets) before slaughter. Pork loin were collected from the animals(110 kg body weight) slaughtering at the commercial slaughter house. Pork loin meat were aerobic packaged and then stored during 2, 5, 8, 11 and 14 days at 4<TEX>$^{\circ}C$</TEX>. Samples were analyzed for shear force value, texture, TBARS, fatty acid composition, cholesterol and CLA content. CLA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p〈0.05) higher shear force valu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t 11, 14 days of cold storage. All treatme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There was a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exture between control and CLA treatment groups. All CLA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p〈0.05) lower TBARS value than the control. TBARS val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in all treatment. CLA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p〈0.05) lower cholesterol content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s dietary CLA was increased in feed, the content of CLA was increased, but the control was almost not detected. The contents of CLA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chilled storage for 14 days. In the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 the contents of oleic, linoleic and arachidonic were decreased by dietary CLA-supplementation, whereas the increase level of CLA-supplementation resulted in the higher palmitic and stearic acid. In all results, CLA could be accumulated in pork meat and its antioxidant capability has been indicated. It was suggested that dietary CLA-supplementation could be produced high quality pork.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