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256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신혜영 (2004)이 수정, 보완한 교사 효능감 검사도구, 임옥경(2014)이 개발한 교사역량척도, 이진화(2009)가 수정, 보완한 MBI 측정도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수준은 정서고갈, 개인성취감 저하, 냉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교사역량과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교사 효능감과 교사역량은 심리적 소진과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심리적 소진에 대한 교사 효능감과 교사역량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개인 효능감, 유아 학습지원, 교육과정 이해, 교육계획은 심리적 소진 전체에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역량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낮추기 위해 교사의 효능감과 역량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하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influence of teacher competency on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6 child care teachers in day care center. The measurer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questionaries; the STEBI of Hye Young Shin, the teacher competency scale of Ok-Kyung Lim, the MBI of Jin-Hwa Lee.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the program ‘SPSS 21.0’ to carry out reliability,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ppeared in the order of emotional depletion, personal achievement degradation, and cynicism.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s’ competency had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 psychological burnout. Third, the psychological burnout was affected by personal efficacy, child learning support,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lann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teacher efficacy and competency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lower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