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서 거주하는 이민 1세대 어머니의 자녀 교육 참여에 나타난 사회자본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n=27)와 참여관찰(n=33)을 통해 질적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민 1세대 어머니의 가족 내 사회자본은 가족 내 다른 유형의 자본의 부족 혹은 결핍으로 인해 유용하게 활용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자본 또는 문화자본과 같은 자본의 결핍으로 인해 본인의 사회자본을 자녀 교육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가족 외부의 사회 자본의 적극적 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연구결과 가족 외부의 사회자본이 이민 1세대 어머니 학부모의 가족 내 사회자본을 증대시키기도 하고 대안으로 기능하는 사례를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가 이주배경 어머니의 효과적인 자녀교육 지원 및 이주배경 학생 교육 경험의 질 제고를 위한 교육정책 마련에 의미있는 시사점이 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explores the nature of first generation immigrant mothers’ social capital in their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n=27)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n=33) reveals that immigrant mothers’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is rarely used because of the lack of other types of capital in the family, such as economic or cultural capital. However, social capital outside of the family can help them to increase or become an alternative to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Discovering the nature of immigrant mothers’ social capital related to their children’s education, this article uncovers opportunities for intervention for designing policies to support families with immigrant background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