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3 지방에서 다른 2 품종을 선택하여 두가지 시비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녹차 제다 방법으로 시료를 만들어 휘발성 화합물을 GC-MS로 분석하였고, 두가지 시비 방법 중, 유기비료 처리구가 차의 휘발성 화합물의 개선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 효과는 계절별로 여름차에서 확연히 드러났고 가을차는 그 뒤를 이었으며, 봄차에서는 효과가 미비했다. 차나무 품종과 생장 계절에 따른 유기 비료 시비의 휘발성화합물에 대한 영향은 봄, 여름, 가을차 모두, ‘슈챠자오’와 ‘비샹자오’ 품종에서 명백하게 관찰되었다. 또, 봄과가을차의 ‘잉솽’ 품종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지만, 여름차에서는 ‘푸딩’ 품종에서만 그 효과가 관찰되었다.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에서는 alcohol류 화합물과 ester류 화합물 함량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들은유기 비료가 품종과 생장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휘발성 화합물의 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차 종류별, 품종별, 생장 환경에 따라 적절하고 적합한 시비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fertilizers on cultivars of volatile compounds in green tea at three experimental plantations in China. The volatile compounds in green tea were analyzed by GC-MS. The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osi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ea leaves, especially in summer tea, followed by autumn tea. Spring tea exhibited the minimum effect.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on volatiles varied with tea cultivars and growing season. A positive effect was observed in spring, summer and autumn leaves in cultivars ‘Shuchazao’ and ‘Bixiangzao’. A positive effect was observed in spring and autumn leaves of cultivar ‘Yinshuang’, but only in summer tea of ‘Fudingdabai’. Alcohol compounds and ester compoun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depends on the tea cultivar and the growing season. It also affected the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An effective fertilizer is needed for specific cultivars, seasons and growing condition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