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백색지방조직(white adipose tissue)의 갈색지방화(browning of white adipose tissue)를 촉진하는 중간대사촉진 물질로 주목을 받고 있는 Beta-Aminoisobutyric Acid(BAIBA) 섭취와 몇몇 신경성장인자 발현 유도로 신경 재생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이 밝혀진 유산소성 트레이닝을 동시에 중재하였을 때 각종 신경재생 지표 및 기능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며, 또한 두 요소 사이의 상호간섭 작용 및 부작용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을 대조집단(CG), BAIBA 섭취집단(BG), 트레드밀 운동집단(EG), BAIBA 섭취와 트레드밀 운동 수행집단(BEG)으로 나누어 말초신경 재생 지표 및 기능회복 정도를 관찰하였다. 인위적인 말초신경 손상은 실험동물의 정중신경(Median Nerve)을 완전 절단 및 접합복원술(Cut & Suture)을 수행하여 실험동물의 말초신경 및 악력 손상을 유발하였다. 신경 절단 및 복원수술 실시 후 24시간 후부터 Compound motor action potential(CMAP) test와 악력검사기(Chatillon force meausrement)를 이용하여 말초신경 완전 불능상태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첫 번째 중재 Beta-Aminoisobutyric Acid(BAIBA) 투약은 120mg/kg/day, 두 번째 중재 트레드밀 운동은 6~10m/min 의 속도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본 운동과 함께 주 5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염증제 BAIBA섭취와 유산소성 트레드밀 운동수행 모두 말초신경 재생지표 1) axon number, 2) G-ratio, 3) Functional recovery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BAIBA 섭취와 트레드밀 운동을 동시에 수행한 집단에서는 동반상승작용(synergy effect)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우려 했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