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항염증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천연 식물 자원으로부터 NOS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고 그 이화학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58가지의 생약재에서 NO 저해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독활에서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가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독활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서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water 순으로 용매 분획을 실시한 후 NO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chloroform 분획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여 최종 분리 시료로 선정하였으며, open column chromatography(silica gel, <TEX>$C_{18}$</TEX>)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활성 물질(AC8-MV)을 분리할 수 있었다. 분리한 활성 물질(AC8-MV)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analytical HPLC와 LC-ESI-mass spectrum를 분석한 결과 순수한 단일 물질로 분리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후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NMR)를 통해 구조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또한 AC8-MV와 NO저해효과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던 AC8-MVI 활성물질에 대한 순도 및 구조분석을 연구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독활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AC8-MV)이 NO inhibitor 로서 일반 항염증 약물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실용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Assessment was made of the effects of Aralia cordata Thunb (DH) on the cell proliferati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mRNA gene expression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For the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ethanolic extracts of 55 spec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were examined for inhibitory effects, and it was confirmed that DH possessed inhibitory effects on NO production. As a result, DH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and iNOS gene expression at a concentration of <TEX>$250{\mu}g/mL$</TEX>. The chloroformsoluble fractionates have the strongest No synthesis inhibitory effect. It is presumed that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by DH components occurred via the modulation of iNOS and DH, and that the active compound from DH may be useful for therapeutic management of inflammatory-associate diseas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