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모바일 단말의 급속한 보급은 전통적인 4대 매체를 탈피한 새로운 광고 시장을 형성하였고 현재 모바일 광고는 그 규모가 매년 성장하고 있다. 특히 동영상 광고 콘텐츠는 소셜 미디어와 동영상 플랫폼의 발전에 따라 그 영향력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향후 소비 주체는 5060세대로 여겨지며 특히 경제적으로 안정되어있고 자신을 위한 소비를 추구하며 모바일의 활용이 능숙한 액티브 시니어가 그 주축이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소비주체가 될 것이라 여겨지는 액티브 시니어와 모바일 광고의 큰 축을 담당하는 동영상 광고 콘텐츠 중 건강과 관련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액티브 시니어에게 효과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모바일 동영상 광고에 사용된 색채의 시각적 특성과 형용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삼는 건강 관련 모바일 동영상 광고는 중장년층인 액티브 시니어의 시각적 특성과 선호도가 고려된 색채의 사용뿐만 아니라 제품의 특성을 고려한 형용사적 연상이 강조된 배색이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소비주체의 핵심이 될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광고 콘텐츠 제작에 있어 액티브 시니어 친화적인 색채의 사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rapid spread of mobile handsets has created a new advertising market that has moved beyond the traditional four major media outlets, and now mobile advertising is growing in size year by year. Video advertising content, in particular, is becoming more influential as social media and video platforms develop. Amid these changes, the nation s future consumption force is believed to be in the 50s and 60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active seniors who are economically stable, who are pursuing consumption for themselves and who are skilled in mobile use will be the cent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n the visual and adjective characteristics of colors used in mobile video advertisements that can be effectively recognized by active seniors, targeting health-related content among active seniors and video advertising conte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consumers in the future. Studies have shown that mobile video ads targeting active seniors require the use of colors that take into account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active seniors, who are middle-aged, as well as those that emphasize adjective associa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