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세계은행에 따르면 전 세계의 부패로 인한 연간 비용이 글로벌 GDP의 약 5%에 해당하며, 취약국에서 부패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 부패 근절의 중요성과 시급성에도 불구하고 취약국들 중 부패인식지수(CPI)가 개선되고 있는 나라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실정에서 아프리카의 세네갈과 코트디부아르는 예외적으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두 나라의 정치 지도자들은 반부패 이니셔티브의 기치를 올리고 비교적 단기간에 주목할 만한 발전을 거두었다. 본 연구는 제도적 부패에 관한 Rothstein과 Teorell의 이론을 중심으로 세네갈과 코트디부아르의 현 대통령들이 취임 이후 주창했던 반부패 이니셔티브들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양국이 상당히 유사한 양상을 보이나 분석틀의 rkr 요소에서 성과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나라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정하고 독립적인 사법부를 보장하고 제도적 부패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World Bank estimates that the annual cost of global corruption equals roughly 5% of global GDP, and the problem is most severe in fragile states. Despit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fighting corruption, few of the fragile states are improving in terms of their Corruption Perception Indices (CPI). However, two countries are stri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Senegal and Côte d´Ivoire. Under their current leaders, the countries have launched several anti-corruption measures that seems to have borne fruit over the short term. By analysing how the initiatives taken by the current presidents since their entry into office are addressing the factors as brought forward by Rothstein and Teorell (2015) as crucial if a country is to break with systemic corruption, the analysis shows that both countries have taken momentous steps compared to under previous administration to break with systemic corruption. It is illustrated that both countries are launching similar initiatives, yet with seemingly varying devotion. However, despite recent improvements, much is left to be done in both countries if they are to permanently break with systemic corruption, particularly to ensure an impartial and independent judiciar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