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평생학습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모형에서 사회인구학적 변수인 성차, 연령, 경제적 수준, 투자시간의 4가지 변수를 통제하였고, 평생학습동기와 임파워먼트(empowerment), 그리고 평생학습역량을 주된 구조모형으로 설계하였으며, 그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평균연령 33.24세의 성인이며, 총 34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평생학습동기는 평생학습역량을 향상시키고, 임파워먼트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생학습동기는 임파워먼트를 거쳐 평생학습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경우, 완전매개효과가 아닌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생학습역량 개발에 미치는 영향력들 중에 외적 결과가 아닌 내적 요소에 주목하여 동기적 요소의 영향력에 대한 기본적인 인과성을 비롯하여 매개적 조절이 가능한 임파워먼트의 기능을 검증하였기에 보다 정책 적용에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학습동기와 임파워먼트를 고양시켜 평생학습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that enables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 to reinforce their lifelong learning competences. This research model has four control variable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economic level, and investment time), and a model consisting of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empowerment,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is presented so its fitness was verified. The participants were 33.24 years old and collected 341 data. As a result,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improved lifelong learning competences and empowerment was found to play a mediator role. In other words,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improve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through empower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is partial mediating effect rather than perfect mediating effec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aid attention to the intrinsic factors and provided the grounds for applying the policy of the empowerment.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suggested a strategic method to promote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by enhancing empowerment with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