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ë°°ê²½ 및 ëª©ì  한국어 ë í™”ì†Œ 체계 분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í•œì •ëœ 음소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일상회화체의 다양한 특성들을 반영하지 못한 ì 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회화체 내 음소 출현율을 반영한 한국표준 ë‹¨ìŒì ˆì–´í‘œ 일반용(Korean Standard Monosyllabic Word List for Adults, KS-MWL-A)을 사용하여 ë í™”ê²€ì‚¬ë¥¼ ì‹¤ì‹œí•˜ê³ , 한국어의 ë í™”ì†Œ 체계를 초성·중성· ì¢ ì„±ë³„ë¡œ 분석하는 데 ëª©ì ì´ 있다. 방법 ë‚¨ë € 화자 2ëª ì´ ë‹¨ìŒì ˆì–´í‘œë¥¼ 자연스럽게 발화하는 모습을 ë ¹í™”í•˜ì—¬ 성인 32ëª ì„ 대상으로 음성 없이 ë í™”ê²€ì‚¬ë¥¼ ì‹¤ì‹œí•˜ê³ , 단어 ì •ë°˜ì‘ë¥ , 음소 ì •ë°˜ì‘ë¥ , 반응음소 출현율을 êµ¬í•˜ì˜€ê³ , 음소 ì •ë°˜ì‘ë¥ ì„ 비교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초성·중성· ì¢ ì„± 혼동 í–‰ë ¬ì„ 통해 반응음소군을 í™•ì¸í•˜ê³ , ëˆ„ì  ì •ë°˜ì‘ë¥ 60%를 기준으로 ë í™”ì†Œêµ°ì„ ê²°ì •í•˜ì˜€ë‹¤. ê²°ê³¼ 연구결과, 단어 ì •ë°˜ì‘ë¥ ì€ 13.00%였으며, 음소 ì •ë°˜ì‘ë¥ ì€ 초성 19.04%, 중성 48.26%, ì¢ ì„± 44.77%로 초성이 중성, ì¢ ì„±ë³´ë‹¤ ìœ ì˜ë¯¸í•˜ê²Œ 낮았다. 각 음소별 반응음소군을 통해서 ë í™”ì†Œêµ°ì„ 초성 /ㄱ, ㄲ, 㠋, 㠎, ([ ])/, /ㄴ, ㄷ, ㄸ, 㠌, (ã , [ ])/, /㠁, 㠂, 㠃, 㠍/, /ã , 㠆, 㠈, 㠊/ 4개, 중성모음 / ã £, ã ¡, ã ¢/, /㠟/, /㠗, 㠛/, / 㠏, 㠑/, /㠜, ã /, /㠓, 㠕/, /㠘, 㠚, (㠙)/, /㠖, 㠐, 㠔/ 8개, ì¢ ì„±ìžìŒ [ ], /ㄱ, 㠇/, /ㄴ, ㄷ/, /ㄹ/, /㠁, 㠂/ 5개로 분류하였다. ë ¼ì˜ 및 ê²°ë¡ í•œêµ­ì–´ 초성자음과 ì¢ ì„±ìžìŒì˜ ë í™”ì†Œ 체계에 미치는 중성모음의 ì˜í–¥ë ¥ì„ 확인하였으며, 또한 ì¢ ì„±ì˜ ìœ ë¬´ì— 대한 민감성이 ì¢ ì„± ë í™”ì†Œ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ë í™”, ë ìˆœ, ë í™”ì†Œ, 한국어 ë í™”ì†Œ 체계, 한국표준 ë‹¨ìŒì ˆì–´í‘œ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