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학교 교육을 받았던 재일조선인들의 구술을 통해 일본 외국인 교육정책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일본 외국인교육정책의 전개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시기적 변화의 특성에 따른 재일조선인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구술자들은 일본 외국인교육정책의 전개과정과 조선학교 교육의 관계성은 느낄 수 없었다고 한다. 이들은 일본 외국인교육정책이 조선학교에 대해서는 “배제로 일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일본 중앙정부와는 달리 지방자치체 차원에서는 조선학교 보조금 지원, 조선학교 졸업생에 대한 공•사립대학 입학 허용 등 중앙 정부와는 차별화된 정책이 실시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분석하였을 때 조선학교에 대한 일본 외국인교육정책 에는 일관된 배제와 동화정책이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 사회에서 조선학교 교육은 교육적 차원의 문제로 접근되지 않고 정치적 문제로 다뤄져 온 측면이 컸다는 것이다. 재일조선인이 일본 국민과 외국인 사이에서 이중 잣대의 적용을 받는 것처럼 조선학교 교육도 일본 교육과 다른 외국인학교 사이에 모호한 경계선에 있다는 것이다. 이는 조선학교에 대한 교육정책이 다른 외국인교육정책과는 달리 이중적 구조로 존재해 왔다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재일조선인 교육은 정치적 상황이 아닌 세계보편적인 인권차원에서 일관성 있게 보장될 필요성이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Joseon school or Korean school (hereafter, Korean schoo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Japanese foreign education through oral histor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I focused on how educational experience of Korean resident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Japan formed through the Korean school education was implemented and applied in Japanese society. Participants were 7 Korean residents in Japan who were educated at Korean school. They all grew up in Kansai region including Osaka Prefecture and Hyogo Prefecture. The oral data was collected three times from September 17, 2014 to February 29, 2016. The or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wo times, two hours per session. As to the analysis of oral data, we first prepared the classification table according to the detailed themes and then cross-checked between the histor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well as related literatures and the memories of the oral interview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ral interviewees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process of foreign education policy in Japan and Korean school education. They said that the education of foreigners in Japan was “consistent with the exclusion of Korean schools.” However, unlike the Japanes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implemented the policies such as providing subsidies to Korean schools, accepting the graduates of Korean schools in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and providing fare discounts for students of Korean schools in local private railway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