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였다.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학생 개인의 특징을 나타내는 성별과 자아개념, 대학에서의 경험을 나타내는 대학학점, 대학적응, 만족도를 포함하였다. 또한 대학원에서의 전공계열, 프로젝트 참여 여부, 대학원 전공 교과목의 도움 정도, 대학원 전공여건 만족도, 지도교수 연구멘토링을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나타내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개념, 대학적응은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원 교육여건 만족도와 지도교수의 연구멘토링 중 대학원생이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성장중심 멘토링이 연구효능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공계에서는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연구효능감 차이가 없었지만, 비이공계에서는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연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전공계열별로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KELS 2005 data. Variables expected to affect the re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such as: gender and self-concept, which repres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llege credits, college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hich represent university experiences, were included. In addition, the major, project participation, the degree to which graduate major courses were helpful,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 environment, and research mentoring by academic advis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indicating the experience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concept and university adap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earch self-efficacy of graduate students. Among the research mentoring of their advisors, growth-focused mentoring, which supports graduate students to grow as independent researchers, positively affected research self-efficacy. La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earch self-efficacy according to project particip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but for non-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project participation experienc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search self-efficac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